1. 1. 논문의 투고
    • 제 1조 (논문 투고 자격)
      1. ① '산업디자인학연구'에 투고하는 주저자first author의 자격은 본회 정회원 또는 명예회원에게만 부여됨을 원칙으로 한다.
      2. ② '산업디자인학연구' 1회 발행분 게재 논문 중 동일 저자author의 이름으로 게재할 수 있는 논문의 편수는 공동연구를 포함하여 3편 이하로 제한한다. 단, 학술대회의 발표자료집proceedings의 경우 동일 저자에 대한 게재 제한은 학술발표대회별 규정에 따른다.

    • 제 2조 (논문 윤리 기준)
      • ① '산업디자인학연구'에 투고되고 게재되는 모든 논문은 학술연구에서 강조되고 준수하는 윤리적·법적 기준을 엄격히 따른다. 과학적 연구방법의 핵심에는 타인에 의해 반복되고 검증될 수 있는 관찰이 포함된다. 따라서 투고자는 데이터를 조작하거나 위조하지 않고 시각적 이미지를 포함해서 가설을 지지하기 위해 결과를 수정하거나 논란의 소지가 있는 관찰을 생략하지 말아야한다. (자세한 사항은 본 학회 '연구 윤리규정Ethical Principles of Industrial Design Researchers'을 참고)
      • ② 문헌상의 논문은 논문 각각의 연구노력의 독립성을 정확하게 반영해야 한다. 따라서 '산업디자인학연구'는 중복게재duplicate publication와 분리게재piecemeal publication를 배격하며, 표절plagiarism 및 자기표절self-plagiarism은 엄격히 금지한다.

    • 제 3조 (논문의 유형)
      • ① 논문집 '산업디자인학연구'에 게재되는 연구 논문의 종류는 다음과 같으며, 어느 것이나 미출판unpublished의 것으로 한다. 단 미출판의 학술대회 연구발표집, 구두발표, 대학논총, 기업 또는 연구기관의 연구보고서 등 외부에 출판되지 않은 연구는 응모할 수 있다. 그 외에도 본 학술지journal에 투고되는 논문은 게재 또는 거부되기에 앞서 동료peer의 심사를 받는 것에, 게재된 논문은 향후 참고를 위해 인출 가능한 형태로 보존archival되는 것에 동의하는 것으로 간주하다.
      • ② 투고자는 투고 시 다음의 논문 유형 중 택일하여 논문을 제출하여야 하며, 이는 '논문지편집위원회(이하 '편집위원회')'의 검토를 통해 수정 권고될 수 있다.
        • 연구논문original articles: 독창적인 디자인 연구의 보고서로서, 고찰을 통해 연구 과정이나 내용에 새로운 사실이나 가치 있는 발견 및 주장이 포함(연구의 독창성)되어 그 학문적 성과가 인정(연구 분야의 기여도)되는 논문. 연구의 범위, 절차 및 방법, 결과, 논의 및 결론 등이 명기(연구 과정의 적절성)되어야 하며, 이전 연구에서 고려되거나 언급되지 않은 자료를 새롭게 분석(연구 내용의 객관성)한 것을 제시함으로써 가설을 검증하는 분석이 포함된다.
        • 이론논문theoretical reviews: 기존의 특정한 역사적, 문화적, 기술적인 주제에 관한 종합적인 해석 또는 논고로서 저자 자신의 연구에 관한 시점perspectives, 이념, 방법을 반영하여 논리적인 발전(학문적 기여도)을 꾀한 논문(연구의 논리적 근거의 타당성). 이론의 발달을 추적하여 이론의 구조를 확장 또는 정교화하거나, 새로운 이론을 제시하거나, 기존의 이론을 분석하여 특정 이론이 다른 이론에 비해 상대적인 결점이나 이점이 있음을 밝힌 연구(제시된 이론의 합리성 및 타당성)로서, 관례상 이론의 내적 일치도와 외적 타당도를 조사한다. (연구의 일관성)
        • 응용논문application reports: 연구방법이나 이론을 현실적 디자인 문제에 적용한 사례성의 연구로서, 그 적용 방법의 체계성, 신뢰성(연구 프로세스의 체계 및 신뢰성), 실용성(연구 내용의 실용성)을 입증함으로써 학술적, 기술적인 가치가 인정되는 논문(학술적 가치성). 기존의 접근법과 더불어 연구자의 독립적인 조사, 실험, 통계 등이 일부 포함될 수 있으며(연구 프로세스의 체계 및 신뢰성), 특정한 디자인 결과를 도출하기 위한 적용 방법 및 프로세스의 필연성(연구 방법 및 프로세스의 필연성)을 결과 중심으로 명확히 기술한다.
      • ③ 투고자는 논문의 유형 선택 시 다음에 제시한 논문 투고분야를 선택하여 논문을 제출하여야 하며, 이는 '편집위원회'의 검토를 통해 수정 권고될 수 있다. 논문의 투고분야는 최대 3개까지 다중 선택이 가능하다.
        • 디자인 방법론
        • 디자인론, 디자인 철학
        • 디자인 경영
        • 디자인 융복합
        • 디자인 인문학
        • 디자인 기술
        • 디자인 비즈니스
        • 디자인 역사
        • 디자인 조형
        • 색채
        • 디자인 환경
        • 디자인 정책
        • 디자인 교육
        • 디자인 마케팅
        • 디자인 프로세스
        • 디자인 권리, 법률
        • 디자인 인식 및 가치
        • 기타 디자인 연구 분야







    • 제 4조 (투고 시기 및 방법)
      • ① 논문의 투고 시기는 게재 확정 전 심사peer review에 약 70일 정도 소요됨을 고려하여 사전에 충분한 시간적 여유를 갖고 수시로 투고하되 다음 발행 예정일을 참고한다.
      • ② 출판일은 각 권 제1호 3월 31일, 제2호 6월 30일, 제3호 9월 30일, 제4호 12월 31일로 정한다.
      • ③ 논문투고 마감일은 발행예정일을 감안하여 적절한 시기(발행일 약 70일 전)에 별도로 학회 홈페이지 또는 이 메일을 통해 공지한다.
      • ④ 긴급투고 논문심사는 해당 논문의 최초 투고 및 심사교신료 납입일로부터 2주 이내에 1차 심사를 완료하고, 재심사의 경우 수정 논문의 투고일로부터 2주 이내에 심사결과를 확정한다. 긴급투고 논문심사비와 게재료는 제 8조에 명기한다.

    • 제 5조 (논문 제출)
      • ① 온라인 투고절차에 따라 제출하고자 하는 논문유형, 제목, 중심어 등의 필요사항을 기입하고 논문파일을 첨부하여 제출한다.
      • ② 논문 투고 시에는 반드시 학회 계좌로 심사료를 납부한다.
      • ③ 워드 프로세서로 작성된 원고(10MB 이내)에 포함된 이미지는 인쇄 시 품질에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원본 이미지 파일(JPEG, PNG 등)을 심사 사이트에 함께 올려야 한다.
      • ④ 원고는 원칙적으로 '한글'로 작성하고 저자, 소속 그리고 교신저자가 표기된 파일은 원문으로 제출하고, 무기명 심사blind peer review를 위해서 저자와 저자 주author note와 교신저자 정보를 삭제한 심사용 파일은 논문심사 사이트(http://www.ksid.kr/submission/Login.html)를 통해 접수한다.
      • ⑤ 접수된 '한글' 파일은 심사사이트에서 자동으로 'Acrobat' 파일(PDF)로 변환되므로 별도로 PDF파일을 만들어 제출할 필요가 없다.

    • 제 6조 (재투고)
      재투고는 제목과 내용 및 저자가 동일한 연구물을 다시 학회에 제출하여 심사를 의뢰하는 것을 말한다.
      • ① 투고된 논문의 저자 철회 신청은 투고된 논문이 심사 과정 중에 있을 때에 한하며, 저자에 의해 자진 철회된 논문에 국한해 재투고를 허용한다.
      • ② 재투고는 1회로 한정하며, 이때 투고자는 재투고임을 밝혀야 한다. 재투고임을 밝힌 논문은 편집위원회의 판정을 거쳐 재투고로 인정받을 수 있다.
      • ③ 재투고된 논문에 대해서는 별도의 심사교신비를 부과하지 않는다.

  2. 2.논문의 게재
    • 제 7조 (논문의 게재 순서)
      편집인editors은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심사를 위해 접수된 날짜의 순위에 따라 논문의 게재 순서를 결정한다.

    • 제 8조 (비용 납부)
      심사결과 게재가 결정된 논문에 대해서는 논문집에 게재하기 위한 교정, 편집이 완료되고 쪽 수가 확정되면 저자는 최종 인쇄원고를 확인하고 게재료를 납부한다.
      • ① 심사교신비
        투고 시 원고와 함께 납부하는 심사교신비는 편 당 90,000원으로, 긴급투고 논문심사교신비는 편 당 200,000원으로 정한다. (무통장입금 / 농협 317-0003-5044-31 사) 한국산업디자이너협회)
      • ② 논문게재료
        게재료는 편 당 (국문 5,000단어 이내, 영문 5,500단어 이내; 전체 8쪽 이상 12쪽 이내) 200,000원으로 한다. 기본 쪽 수를 초과하는 경우, 초과 2쪽 당 40,000원의 추가 요금을 부과한다. (예: 총 15쪽 투고의 경우, 80,000원 추가 부담) 긴급투고 논문의 경우에도 게재료는 일반투고 논문과 동일하게 부과한다.
      • ③ 심사 및 게재료 영수증
        영수증은 사무국을 통해 발급받으며 심사 및 게재료 납부 확인 후 진행된다.

    • 제 9조 (저작권 및 출판권)
      논문 게재 확정 시, 학회 규정에 따라 저작권copyright (저자권authorship과 다름)을 학회에 양도함으로써 투고된 논문에 대한 '산업디자인학연구'의 편집·출판권은 학회에 귀속되는 것으로 한다. 논문의 내용과 관련하여 특허 및 디자인권 등의 출원 및 등록에 관해서는 저자가 시행하며, 그에 관한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저자의 책임 하에 대응하여 처리하여야 한다.

  3. 3. 논문의 작성
    • 제 10조 (논문의 형식)
      1. ① 논문의 작성은 저자의 책임 하에 반드시 '산업디자인학연구'의 '논문 작성 및 발행 규정'에 준거하여 본 학술지 게재 논문으로서의 특정한 고유 체계와 형식을 갖추어야 하며, 언어는 국문과 영문 중 하나로 한다.
      2. ② 원고를 학회가 규정하는 형식과 구조에 맞게 작성하는 책임은 오로지 저자에게 있다. 논문투고 안내에서 예시하고 있는 '논문작성 Template'을 기본으로 하여 논문형식에 맞도록 작성한다. 제출하는 '글' 문서는 반드시 10MB 미만의 용량으로 저장하여야 한다.
      3. ③ 논문의 길이는 총 단어 수 기준으로 국문 5,000단어, 영문 5,500단어 한도로 작성하며, 그림과 표를 포함하여 8쪽 ~12쪽 내로 작성을 기준으로 한다. 논문의 길이는 본 학회의 지정서체 사용과 미국식 영문표기 및 한글 띄어쓰기 규정에 준거하여 판정한다. 12쪽 초과 쪽 분에 대해서는 추가 비용을 청구한다.
      4. ④ 1편의 논문을 기준하여 8페이지, 10페이지, 12페이지, 14페이지 순으로, 짝수 페이지를 기본으로 작성한다.
      5. ⑤ 작성에 소요되는 서체는 무료배포를 통해 저작권과 무관하게 사용할 수 있는 서체 사용을 권장한다. 논문의 투고 시 지정서체 외 서체를 사용하여 작성하여도 무방하나 지정서체만을 사용하는 최종 편집본에서의 원고의 길이, 형태나 레이아웃, 가독성 등을 가늠해보기 위해서는 작성 시부터 지정서체 사용이 필요하다. (자세한 사항은 '제 11조 논문의 제원'을 참조)
      6. ⑥ 기타 논문작성의 제반 원칙은 미국심리학회의 논문작성규정(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th Ed., 이하 APA 출판양식)을 따른다.

    • 제 11조 (논문의 제원)
      • ① 작성 워드프로세서
        ∙ 국문 논문은 '한글'로, 영문 논문은 '한글' 또는 'MS Word'로 한다.
      • ② 용지 종류 및 방향 ∙ 용지 크기: A4 (국배판; 210 × 297mm), 용지 방향: 좁게, 제본: 맞쪽
      • ③ 용지 여백
        ∙ 위쪽/아래쪽 15mm, 머리말/꼬리말 18mm, 안쪽 28mm, 바깥쪽 22mm
      • ④ 사용 지정서체
        ∙ 나눔명조, 나눔명조 Extra Bold, 나눔바른고딕, 나눔바른고딕 Light
        ∙ 상기 서체는 '네이버' 사이트에서 무료freeware로 배포 중

    • 제 12조 (논문 작성 요령 및 상세 규격)
      • 1) 국문 제목 (예시양식 스타일 스타일 #1)
        제목title은 원고의 주요 아이디어를 요약하고 있어야 하고, 주요 논제에 대한 간결한 진술이며 그 자체로서 완전히 설명적이어야 한다. 소제목은 권장하지 않지만 부득이 붙여야 하는 경우는 제목과 동일한 형식으로 제목과의 사이에 콜론colon(:)으로 연결하여 기술한다. 제목은 1줄, 부제를 포함해서도 2줄을 넘지 않도록 한다.
        제목은 수많은 참고문헌에서 색인index으로 만들어지고 편집되므로 특정한 논문의 내용과 구체적 특성을 반영하지 않는 일반적이거나 상투적인 단어는 피한다. 예를 들어 방법method과 결과result라는 단어, 또는 "~에 관한 연구A Study of ~"라는 문구 등은 제목 표기에서 지양하는 것이 좋다.
        문단 모양 글자 모양
        정렬 방식: 왼쪽 정렬
        첫 줄 쓰기: 보통
        줄 간격: 130%
        줄 나눔 최소공백: 75%
        기준 크기: 12pt.
        글꼴: 나눔바른고딕
        장평: 100%
        자간: -5%
        속성: 진하게

      • 2) 영문 제목 (예시양식 스타일 스타일 #2)
        영문 제목은 국문 제목과 동일한 요령으로 작성하고 국문 형식에 준하여 표기한다. 영문 제목은 관사article, 전치사preposition와 등위접속사coordinating conjunction를 제외한 나머지 단어의 첫 글자를 대문자로 표기한다.
        문단 모양 글자 모양
        정렬 방식: 왼쪽 정렬
        첫 줄 쓰기: 보통
        줄 간격: 130%
        줄 나눔 최소공백: 75%
        기준 크기: 11pt.
        글꼴: 나눔바른고딕
        장평: 100%
        자간: 0%
        속성: 진하게

      • 3) 저자명 (예시양식 스타일 스타일 #3)
        저자명은 국문명과 영문명을 차례로, 국문명은 성, 이름 순으로, 영문명은 이름, 중간이름의 이니셜, 성 순으로 기입한다. 따라서 영문명의 경우 이름과 성 사이에 쉼표comma(,)를 삽입하지 않는다. 모든 종류의 호칭(예: 박사, 교수)과 학위명(예: PhD, EdD)은 생략하고 쓰지 않는다. 저자명은 연구에 기여한 순서대로 기입하되, 각 저자의 이름 맨 뒤에는 위첨자superscripts로 연번consecutive numbers을 기입하여 저자 주author note에서 각 저자의 자격을 명기할 수 있게 한다.
        문단 모양 글자 모양
        정렬 방식: 왼쪽 정렬
        첫 줄 쓰기: 보통
        줄 간격: 130%
        줄 나눔 최소공백: 75%
        기준 크기: 10pt.
        글꼴: 나눔명조 ExtraBold
        장평: 100%
        자간: 0%
        속성: -

      • 4) 저자 소속 (예시양식 스타일 스타일 #4)
        저자의 소속affiliation은 연구가 수행된 시기에 저자가 소속되었던 위치, 즉 기관을 나타낸다. 만일 두 기관이 연구에 실질적으로 관여했다면 저자 1인당 2개 기관명까지 소속을 적을 수 있다. 연구물이 완결된 이래 소속기관이 변경된 경우는 저자 주에 현재 기관을 별도로 기입한다. 또, 영문 소속의 마지막에는 소속 기관이 위치한 지역명과 국가를 쉼표(,)로 연결해 기입한다.
        문단 모양 글자 모양
        정렬 방식: 왼쪽 정렬
        첫 줄 쓰기: 보통
        줄 간격: 180%
        줄 나눔 최소공백: 75%
        기준 크기: 8pt.
        글꼴: 나눔명조 ExtraBold
        장평: 100%
        자간: 0%
        속성: -

      • 5) 초록 제목 (예시양식 스타일 스타일 #5) 및 초록 내용 (예시양식 스타일 스타일 #6)
        초록abstract은 논문 내용을 간략하고 종합적으로 압축, 요약한 것이다. 기본적으로 초록은 독자들에게 신속하게 논문의 내용을 전달하여 색인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그 문서를 인출할 수 있게 해주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초록은 원고의 목적과 내용을 가감없이 정확하게 담고, 평가를 피하면서 주로 보고를 하는 형식을 취해야 하며, 특히 첫 문장에 연구의 배경이나 발단을 담기보다는 최대한 많은 정보를 담아 함축적인 문장이 되도록 구성하여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초록은 제목을 반복하는 것도 아니고, 원고의 서론 내용과도 중복을 피해야 한다.
        본 학술지의 초록은 연구배경, 연구방법, 연구결과, 결론의 4개 단락으로 나누어 실제 진행된 연구의 맥락에 맞게 간결하게 작성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사용 단어 수 제한word limits은 200단어이므로 이를 초과해서는 안 된다. 초록의 각 단락 내에서는 2개 이상의 단락으로 나누지 말아야 하며, 들여쓰기하지 않는다.
        문단 모양 글자 모양
        정렬 방식: 양쪽 (초록 제목은 왼쪽) 정렬
        첫 줄 쓰기: 보통
        줄 간격: 160%
        줄 나눔 최소공백: 75%
        기준 크기: 8.3pt.
        글꼴: 나눔명조 (초록 제목은 나눔바른고딕) 속성: - (초록 제목은 진하게)
        장평: 100% 자간: 0%
        속성: -5% (초록 제목은 0%)
        속성: - (초록 제목은 진하게)

      • 6) 중심어 제목 (예시양식 스타일 스타일 #7) 및 중심어 (예시양식 스타일 스타일 #8)
        중심어keywords는 논문의 내용이 주지하는 핵심적인 아이디어를 표상적으로 표현한 단어 또는 문구phrases를 열거한 것이다. 방대한 데이터베이스에서 다양한 검색도구를 통한 각 논문의 검색 및 인출에 핵심어의 역할은 결정적이라고 할 수 있으므로 너무 일반적이거나 광의의 어휘(예: 산업디자인, UX)나 지나치게 전문적이거나 협의의 어휘(예: 내장 온도기록법viscera thermography)를 쓰면 효율적인 검색을 방해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핵심어 수는 3단어 이상 5개를 넘지 않게 기입한다.
        문단 모양 글자 모양
        정렬 방식: 왼쪽 정렬
        첫 줄 쓰기: 보통
        줄 간격: 130%
        문단 아래: 0pt.
        줄 나눔 최소공백: 75%
        기준 크기: 8.5pt.
        글꼴: 나눔명조 (중심어 제목은 나눔바른고딕)
        장평: 100%
        자간: -5% (중심어 제목은 0%)
        속성: (중심어 제목은 기울임)

      • 7) Abstract 내용 (예시양식 스타일 스타일 #9)
        Abstract는 국문 초록의 영문 번역에 해당하는 부분으로서 기본적인 작성 요령은 초록과 동일하다. 다만, 230단어를 초과하지 않아야 하고, 미국식 영어standard American English의 문법, 철자법 및 표기법을 준수하여 작성한다. 예를 들어 colour, programme 등은 영국식 철자이고 color, program 등은 미국식 철자이다.
        문단 모양 글자 모양
        정렬 방식: 양쪽 정렬
        첫 줄 쓰기: 보통
        줄 간격: 146%
        문단 아래: 0pt.
        줄 나눔 최소공백: 35%
        기준 크기: 8.5pt.
        글꼴: 나눔명조
        장평: 100%
        자간: 0%
        속성: -

      • 8) Keywords (예시양식 스타일 스타일 #10)
        Keywords의 작성은 '중심어 제목 및 중심어'의 작성 요령과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Keywords의 대소문자 표기는 영문 제목의 규정을 따르도록 한다.
        문단 모양 글자 모양
        정렬 방식: 왼쪽 정렬
        첫 줄 쓰기: 보통
        줄 간격: 130%
        문단 아래: 0pt.
        줄 나눔 최소공백: 35%
        기준 크기: 8.5pt.
        글꼴: 나눔명조
        장평: 100%
        자간: 0%
        속성: -

      • 9) 저자 주 (예시양식 스타일 #11)
        저자 주는 인쇄된 논문과 함께 제시되어 각 저자의 연락처, 인용출처citation 표기, 감사의 글acknowledgement, 논문의 게재 수락까지의 일정, 특수 상황 등을 기록한 것이다. 우선 저자명 표기란byline에 위첨자로 표시된 번호에 따라, 마찬가지로 위첨자로 시작하는 연번 순의 저자 구분을 표기하고 교신저자corresponding author의 경우에는 마지막에 마침표period(.)를 붙이지 않은 이메일 주소를 기입한다. 또 공저자 중에서도 연구 종료 이후 논문의 게재 시에 소속이 변경된 경우에도 위첨자의 번호를 달아 현재의 소속을 저자 주에 기입한다.
        감사의 글은 연구를 위한 지원금grants이나 기타 재정 지원과 그 출처를 밝힌다. 필요에 따라서는 연구수행 또는 원고비평에 도움을 주었거나 심사와 채택에 통상적으로 관여한 사람들에게 간단하게 감사를 표하는 문장을 넣을 수 있다.
        문단 모양 글자 모양
        정렬 방식: 왼쪽 정렬
        첫 줄 쓰기: 보통
        줄 간격: 130%
        줄 나눔 최소공백: 75%
        기준 크기: 8.5pt.
        글꼴: 나눔명조
        장평: 100%
        자간: -5%
      • 10) 대제목 (예시양식 스타일 #12)
        큰 제목headings은 논문 내용의 장chapter을 나누는 표식으로서 아라비아 숫자의 연번 뒤에 마침표를 붙여 표기한다.
        문단 모양 글자 모양
        정렬 방식: 왼쪽 정렬
        첫 줄 쓰기: 보통
        줄 간격: 250%
        줄 나눔 최소공백: 75%
        기준 크기: 10pt.
        글꼴: 나눔바른고딕
        장평: 100%
        자간: 0%
        속성: 진하게

      • 11) 본문 (예시양식 스타일 #13)
        본문body text은 글자 그대로 논문의 내용을 충실하고 보다 면밀하고 구체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본문도 길고 장황한 만연체보다는 명확하고 간결한 언어로 작성해야 한다. 명사에 상당하는 어구보다는 동사를, 수동태passive voice보다는 능동태active voice를 사용한다. 추출된 결론이나 지속적인 적용 가능성을 가진 결과에 대해서는 현재 시제present tense를 사용하고, 조작된 구체적인 변인이나 측정된 성과에 대해서는 과거 시제past tense를 사용한다.
        본문의 단락 첫 줄은 들여쓰기indentation하지 않으며, 단락과 단락 사이에는 별도의 간격을 두지 않는다. 또한 본문은 본 학술지 논문에서 거의 유일하게 양쪽 정렬justification을 유지하는 단락이다.
        문단 모양 글자 모양
        정렬 방식: 왼쪽 정렬
        첫 줄 쓰기: 보통
        줄 간격: 180%
        줄 나눔 최소공백: 50%
        기준 크기: 9pt.
        글꼴: 나눔명조
        장평: 100%
        자간: -5%

      • 12) 중간 제목 (예시양식 스타일 #14)
        한 개의 절 내에 단 하나의 하위 절만 포함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피한다. 두 개 이상의 하위 절로 구성할 수 없다면 상위의 절을 하위 절과 같은 내용으로 수정하고 절 내에서는 하위 절을 사용하지 않는다. 중간 제목은 아라비아 숫자 2개를 띄어쓰기 없이 사용하고, 각 숫자의 뒤에 마침표를 붙인다.
        문단 모양 글자 모양
        정렬 방식: 왼쪽 정렬
        첫 줄 쓰기: 보통
        줄 간격: 200%
        줄 나눔 최소공백: 75%
        기준 크기: 9pt.
        글꼴: 나눔바른고딕
        장평: 100%
        자간: 0%
        속성: 진하게

      • 13) 소제목 (예시양식 스타일 #15)
        작은 제목은 아라비아 숫자 3개를 띄어쓰기 없이 사용하고, 각 숫자의 뒤에 마침표를 붙인다. 작은 제목 위계 이하의 절은 구성하지 않는다. (예: 1.1.1.1.과 같이 숫자 4개를 이어 쓰는 절 제목 표기는 없음)
        문단 모양 글자 모양
        정렬 방식: 왼쪽 정렬
        첫 줄 쓰기: 보통
        줄 간격: 200%
        줄 나눔 최소공백: 75%
        기준 크기: 9pt.
        글꼴: 나눔바른고딕
        장평: 100%
        자간: 0%

      • 14) 불릿배열문 (예시양식 스타일 #16)
        순서를 나타내지 않고 핵심내용들을 정리하여 체계적으로 표현하고자 할 때는 총알기호bullets를 붙인 항목 배열을 활용한다. 대체로 이러한 불릿 배열문은 각각의 항목 간 등위의 관계를 유지하고자 할 때 주로 쓴다. 본 학술지에서는 총알기호로 속이 찬 작은 정사각형solid squares, small(▪)을 사용함을 원칙으로 한다.
        문단 모양 글자 모양
        정렬 방식: 왼쪽 정렬
        왼쪽 여백: 0pt.
        첫 줄 쓰기: 내어쓰기 12pt.
        줄 간격: 140%
        문단 위 간격: 1pt.
        문단 아래 간격: 3pt.
        줄 나눔 최소공백: 75%
        기준 크기: 8.5pt.
        글꼴: 나눔명조
        장평: 100%
        자간: 0%

      • 15) 각주 (예시양식 스타일 #17)
        각주footnotes는 본문의 추가적인 내용 또는 저작권 허가 상태를 인정하고자 할 때 사용되는데, 본 학술지에서는 별도의 저작권 허가 상태에 대한 표기를 요구하지 않고 있으므로 각주는 내용각주content footnotes로만 활용하도록 한다. 내용각주는 본문의 실질적인 정보를 보충 또는 보강하는 역할로서 복잡하고 관련이 없거나 핵심에서 벗어난 정보를 담지 말아야 한다. 동시에 해당 내용이 기타 연구문헌을 인용한 것일 경우 내용각주의 끝에 별도의 출처를 밝히되, 표기된 출처를 참고문헌에 중복 표기하지 않는다.
        각주는 각주 색인이 위치한 쪽의 하단에 표기함을 원칙으로 하며, 본문 내에서 위첨자 번호numbered superscripts를 붙여 색인한다. 하나의 각주는 오직 한 가지 아이디어만 전달해야 한다. 즉, 여러 단락으로 된 긴 각주를 제시해야 한다면, 본문이나 부록에 포함시키는 것이 정보 제시에 훨씬 더 적절한 장소가 될 것이다.
        문단 모양 글자 모양
        정렬 방식: 왼쪽 정렬
        왼쪽 여백: 0pt.
        첫 줄 쓰기: 내어쓰기 11pt.
        줄 간격: 130%
        문단 아래 간격: 5pt.
        줄 나눔 최소공백: 75%
        기준 크기: 7.8pt.
        글꼴: 나눔바른고딕 Light
        장평: 100%
        자간: 0%

      • 16) 표/그림 제목 (예시양식 스타일 #18)
        표tables 또는 그림figures의 제목과 설명을 표기하는 형식이다. 흔히 캡션caption이라고도 불린다. 표/그림 제목은 해당 표 또는 그림에 반드시 '캡션넣기'하여 첨가 표기하여야 한다. 표의 제목은 해당 표의 상단 좌측에, 그림의 제목은 해당 그림의 하단 좌측에 위치시킨다. 표/그림 제목은 하나의 논문 내에서 연번을 배정하고 번호의 바로 뒤에 마침표를 붙인다. 즉, 절이 바뀔 때마다 새로운 연번이 재배정되지 않도록 한다.
        표 또는 그림을 다른 문헌에서 인용해 왔을 경우, 그 출처를 참고문헌 또는 각주에 기재하지 않고 해당 표/그림 제목 란에 직접 표기함을 원칙으로 한다. 이때 출처와 저작권 표기를 동시에 해준다.
        문단 모양 글자 모양
        정렬 방식: 왼쪽 정렬
        첫 줄 쓰기: 보통
        줄 간격: 130%
        줄 나눔 최소공백: 75%
        기준 크기: 8.5pt.
        글꼴: 나눔바른고딕
        장평: 95%
        자간: 0%

      • 17) 표 내용 (예시양식 스타일 #19)
        모든 표는 세로 구분선이 없고, 가로 구분선 중에서 맨 위와 맨 아래의 가로선을 굵게 표시한다. 표 안에서 상하에 표기한 다수의 항목이 하나의 동일한 개념이나 아이디어로 묶일 수 있다면 그 사이에 존재하는 가로 구분선도 생략할 수 있다. 표의 모든 구분선은 실선continuous lines으로만 표시한다.
        표 내용을 표기함에 있어 상하에 위치한 항목들의 글 길이가 유사할 때는 가운데 정렬을 기본으로 하되, 항목 간 비교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나 글 길이가 크게 차이 날 경우는 왼쪽 정렬left alignment, 숫자 등의 자리 수가 서로 달라서 생기는 혼란스러움을 피하기 위해서는 소수점 탭decimal tab에 맞춘 왼쪽 정렬을 택할 수 있다.
        문단 모양 글자 모양
        정렬 방식: 가운데 정렬
        첫 줄 쓰기: 보통
        줄 간격: 130%
        줄 나눔 최소공백: 50%
        기준 크기: 8pt.
        글꼴: 나눔바른고딕 Light
        장평: 95%
        자간: 0%

      • 18) 수식 번호 (예시양식 스타일 #20)
        모든 수식formuli은 본문 내에 또는 별도의 줄에 제시하더라도 구두점을 찍어서 문장구문상의 어법에 맞도록 작성해야 한다. 수식은 그림 또는 표와 같이 데이터 디스플레이에 속하는 항목이 아니므로 a=[(1+b)/x]1/2와 같이 짧고 간단한 수식은 본문에 제시하는 것이 원칙이나, 표기형식상 그 줄의 위나 아래로 돌출되어 나오는 경우에는 별도의 줄에 배치시키고 수식의 우측 여백에 수식 번호를 붙여 추후 인용을 쉽게 해두어야 한다.
        본문의 문장 내에 분수를 표시하기 위해서는 사선slashes(/)를 사용하고, 소괄호parentheses(()), 중괄호brackets([ ]) 그리고 대괄호braces({ })를 제시 필요 순서에 따라 사용한다. 수식에 흔히 사용되는 기호, 그리스어 부호, 도량형, 각종 단위 등에 대한 약어 표기법은 APA 출판양식에 따른다.
        문단 모양 글자 모양
        정렬 방식: 나눔 정렬
        왼쪽 여백: 15pt.
        첫 줄 쓰기: 보통
        줄 간격: 140%
        문단 위 간격: 0pt.
        문단 아래 간격: 8pt.
        줄 나눔 최소공백: 75%
        기준 크기: 8.5pt.
        글꼴: 나눔바른고딕
        장평: 95%
        자간: 0%

      • 19) 순차배열문 (예시양식 스타일 #21)
        순차배열seriation은 불릿배열과 마찬가지로 절, 단락, 문장 내에서 핵심내용의 조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순차배열은 연대기, 과정의 순서, 중요도 또는 우선권 등에서 그 차이를 암시하기 위해 쓰는 경우가 많다. 모든 순차배열의 항목은 통사론적syntactically·개념적으로 병렬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문단 모양 글자 모양
        정렬 방식: 왼쪽 정렬
        왼쪽 여백: 0pt.
        첫 줄 쓰기: 내어쓰기 10pt.
        줄 간격: 140%
        문단 위 간격: 1pt.
        문단 아래 간격: 3pt.
        줄 나눔 최소공백: 75%
        기준 크기: 8.5pt.
        글꼴: 나눔명조
        장평: 100%
        자간: 0%

      • 20) 참고문헌 (예시양식 스타일 #22)
        참고문헌references은 문헌에 관한 진술의 근거를 기록·증명하는 데 사용된다. 원고에 인용된 문헌은 모든 항목을 일일이 기입할 필요는 없다고 하더라도, 연구의 필요성을 뒷받침하고 독자들이 선행연구와의 맥락에서 이론화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기입되어야 한다. 그러나 본문에 인용 색인이 기입되지 않은 문헌을 저자가 단순히 참고하였다거나 영감을 얻었다, 배경이 되었다는 등의 불특정한 이유를 근거로 참고문헌 란에 기입해서는 안 된다.
        참고문헌 란에서 각 참고문헌의 기입 순서는 한국어 문헌을 저자명의 가나다 순으로 먼저 표기하고, 그 다음에 외국어 문헌을 저자명의 알파벳 순alphabetical order으로 표기한다. 참고문헌의 종류에 따라 문서의 제목 또는 출판물의 제목을 보통 오른쪽 기울어진Italic 글꼴로 표기한다. 세부적인 이탤릭체 표기법은 각 참고문헌 표기법에 따른다.
        참고문헌 기재와 관련하여 본문 중 인용 색인은 소괄호parentheses 안에 저자명(영문은 저자의 성), 쉼표(,) 그리고 문헌의 발행연도를 표기하는 것으로 한다. 저자와 발행연도가 동일한 두 개 이상의 문헌이 인용되었을 경우, 발행연도 뒤에 a, b, c,와 같이 구분 표식을 하고 동일한 방식으로 참고문헌에 기재한다.
        출판된 문헌은 그 출판일이 분명하겠지만 논평book review and/or critique, 보고서technical and/or research reports, 통신문communications, 자가소장 저작물 등의 미출판 문헌은 발행일자가 누락되었거나 미상인 경우가 있으므로, 이때는 발행 시기 표기란에 로마자 표기 시는 (n.d.), 국문 표기 시는 (연도 미상)이라고 표기해준다. 동일한 저자의 2개 이상의 문헌은 발행연도 순으로 표기하고, 7인 이하의 공동저자는 모든 저자의 이름을 쉼표(,)로 구분하여 기재한다. 복수의 저자를 영문으로 기입할 때는 각 저자의 성, 이름의 이니셜 순으로 기재하고 맨 마지막의 저자 앞에 앰퍼샌드ampersand(&)를 붙인다. 8명 이상의 공동저자는 6명까지의 저자를 순서대로 기입한 후에 마침표periods(.)를 전체 저자 수에서 7을 뺀 수만큼 찍고 가장 마지막 저자를 기재한다. (총 저자 수가 9명인 예: Gilbert, D. G., McCormick, J. F., Ralph, N. E., Sushimura, C., Plenthe, L.K., Åsgëfald, G., . . Bostros, N. E.) 위와 같이 복수 저자의 문헌에 대해 본문에 인용 색인을 붙이는 방식은 2인 저자까지는 항상 ‘일반 색인normal indexing’의 형식으로, 3인 이상의 저자는 첫 인용 때는 일반 색인 형식, 두 번째 인용부터는 소괄호 속에 제1저자명, 외外(영문의 경우는 et al.), 쉼표comma(,) 붙인 연도 순(이상 ‘약식 색인simplified indexing’ 형식)으로 기입한다. 총 저자 수가 6인 이상의 경우에는 본문 색인을 할 때 항상 약식 색인 형식을 취한다. 동일한 논문 내에서는 저자명을 일관되게 표기해야 한다. 가령, Chrysanthemum, J. D.를 또 다른 위치에서는 Chrysanthemum, D.라고 표기하면 동일인인지 판단하기 어렵다. 영문 저자의 경우, 저자의 이름을 이니셜로 쓰기 때문에, 성과 이름의 이니셜만 같은 서로 다른 저자 사이에 구분이 어려운 경우에는 중괄호([ ]) 안에 이름을 정확히 명시하여 구분한다. (예: Janet, Paul과 Janet, Pierre의 경우. 각각 Janet, P. [Paul]. 과 Janet, P. [Pierre].로 표기) 본문에 삽입되는 참고문헌 색인을 각주 색인과 혼용해서는 안 된다. 본 학술지에서는 각주를 내용각주로만 활용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므로, 해당 명제에 대한 설명이 필요한 경우만 각주를 기입하고 (색인 형식: 위첨자 연번호), 인용 출처를 밝힐 때는 참고문헌 색인을 기입하고 참고문헌 목록에서 직접 기재하여야한다. (‘논문 작성 및 발행 규정 제 12조 15) 각주’ 참고)
        문단 모양 글자 모양
        정렬 방식: 왼쪽 정렬
        왼쪽 여백: 0pt.
        첫 줄 쓰기: 내어쓰기 15pt.
        줄 간격: 130%
        문단 아래 간격: 4pt.
        줄 나눔 최소공백: 75%
        기준 크기: 8.3pt.
        글꼴: 나눔바른고딕 Light
        장평: 100%
        자간: 0%

        다양한 참고문헌의 표기법은 기본적으로 APA 출판양식을 준거하며, 논문에서 자주 쓰이는 유형의 참고문헌 표기법을 예시하면 다음과 같다.
        • • 서적
          형식: 저자. (출판연도). 문헌명 (pp. 쪽 수). 지역: 출판사. ['문헌명' 이탤릭체 사용, pp. 으로 쪽 수 표기]
          예: 강임장. (1999). 파괴자들 (pp. 17-43). 서울: 한스미디어. [pp. 으로 쪽 수 표기]
          < 주의 > 동일한 문헌에서 서로 다른 다수의 절 또는 단락으로부터 다수의 인용이 이루어진 경우 (동일 문헌 다수 인용)는 참고문헌에 별도의 쪽 수 표기 없이 서적 전체만 표기하고, 본문색인의 연도 표기 후에 인용된 내용의 쪽 수를 표기한다. 단행본 서적이 아닌 기타의 문헌의경우에도 다수의 인용이 동일한 참고문헌 내에서 이루어졌다면 그 참고문헌과 본문 색인의 표기는동일한 방식을 취한다.
          형식: 저자. (출판연도). 문헌명. 지역: 출판사. [‘문헌명’ 이탤릭체 사용, 쪽 수 표기하지 않음]
          참고문헌 표기의 예: Sunflower, G. H. (1989). Computer addiction?: A study of computer dependency. London: Taylor & Francis.
          본문 색인 예: (Sunflower, 1989, p. 37-39) ... (Sunflower, 1989, p. 77) [p. 으로 쪽 수 표기]
        • • 정기간행물 (학술지 논문, 잡지 및 신문 기사 포함)
          정기간행물periodicals이란 학술지, 잡지, 신문, 뉴스레터, 사보 등과 같이 정기적으로 출판되는 문헌항목을 지칭한다. 본 표기 방식은 그 출처가 온라인이라 하더라도 원문 전체가 웹 상에 게시되어있지 않아 별도의 파일 형태로 내려받기한 문서를 모두 포함하는 표기 방식이다. 일반적으로학술지1)의 경우는 발행지의 권 및 호 수가 분명하므로 출판일에 연도만 기입하는데 비해 잡지2)의경우는 해당 문헌의 발행빈도(연/계/월/주/일간)에 따라 계간 이하 월간까지는 연월을, 주간 미만은연월일을 표기한다. 신문3)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잡지는 그 발행빈도에 따른 출판일 표기가 명확히이루어졌다면 권/호 표기는 생략할 수 있다. 최근 늘어나고 있는 디지털콘텐츠식별자digital object identifier (DOI)가 있는 학술지 논문4) 등은 반드시 DOI를 맨 끝에 명기하되 그 문헌이 웹을 통한내려받기로 얻어진 것이라도 웹 출처 URL을 동시에 표기하지 않는다.
          공통 형식: 저자. (출판 시기). 논문(또는 기사)의 제목. 학술지명(또는 잡지/신문 제호), 권(호),쪽(또는 면) 수. [‘학술지명’과 ‘권호’ 이탤릭체 사용]
          1)예: 김이박. (2003). 금연의 EEG 활성화 효과. 디자인 전략연구, 8(1), 73-80. [‘학술지명’ 과 ‘권호’ 이탤릭체 사용] [pp. 00 또는 p. 00 사용하지 않음]
          2)Magnolia, S. (2000, May). Enhancing worker Well-being: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ists convene to share their research on work. Monitor on Psychology, 33(4), 26-29. [‘잡지 제호’와 ‘권호’ 이탤릭체 사용] [pp. 00 또는 p. 00 사용하지 않음]
          2)예: 강타자. (2015, 5월). 인터랙션이란 무엇인가?. 밀레니얼 인터페이스, 12(11), 77.
          3)예: 정조윤, 최정강, 강장임, 조최정, 윤정강. (2007, 9월 30일). 다학제적 접근을 통한 대학 디자인교육혁신. 종영일보, pp. A1, A4-A5. [pp. 으로 면 수 표기, 불연속적인 면에 제시된 기사는모든 면 수를 쉼표로 구분하여 제시]
          4)예: Solick, M. J., & Schmitt, N. M. (2006, September). Effects of quitting smoking on EEG activation. Nicotine and Tobacco Monthly, 9(2), 222-223. doi: 10.1022/0278-6833.16.2.295
          4)예: 정최윤. (2011). 브레인스토밍과 스캠퍼 기반의 서비스디자인 프로세스. 서비스디자인연구, 17, 37-38. doi: 10.1033/kjid.85000693 [‘학술지명’ 과 ‘권호’ 이탤릭체 사용] [pp. 00 또는 p. 00 사용하지 않음]
        • • 온라인 학술지 논문 또는 잡지 기사 (원문 전체가 웹 페이지에 게시되어 웹 상에서 직접 열람가능하게 되어 있는 콘텐트)
          예: 이김최, 강임조. (2007). 신경망 모형을 활용한 UX디자인 데이터마이닝 기법 연구. 신융합디자인연구, 17, 37-38. 출처: http://www.apagal.or.kr/monitor/uxdatamining#12 [‘쪽 수’는 생략 가능, 마지막에 마침표(.) 찍지 않음]
          예: Clay, R. D. (2008, July). Science vs. ideology: Psychologists fight back about the misuse of research. Monitor on Modern Psychology, 39(2). Retrieved from http://www.ndjrt.com/html/ojjdp/news_at_glance/216397.html [‘쪽 수’는 생략 가능,마지막에 마침표(.) 찍지 않음]
        • • 온라인 신문기사 (원문 전체가 웹 페이지에 게시되어 웹 상에서 직접 열람 가능하게 되어 있는온라인 뉴스 기사)
          형식: 저자. (게시 연월일). 기사의 제목. 신문 제호, 출처: 홈페이지 URL [마지막에 마침표(.)찍지 않음, ‘신문 제호’ 이탤릭체 사용] [전체 URL 아닌 홈페이지 URL만 표기]
          예: 이김박, 박김이. (2006, 12월 11일). 좌우 뇌의 상호작용은 유효한가?. The New York Times, 출처: http://www.nytimes.com
        • • 학위논문
          학위논문은 해당 교육기관에서 학위기 청구용으로 활용한 이후 저자가 임의로 인쇄하여 배포한증정본 논문(도서번호 또는 정기간행물번호 미탑재)을 지칭하며, 웹 상에서 원문 전체가 열람가능하지 않은 이유로 웹을 통해 원문파일 내려받기 또는 구입한 학위논문을 포함한다. 학위논문은대체로 미출판물로 간주된다. 웹 상에서 원문 전체를 직접 열람 가능하도록 게시된 논문은 [온라인학위논문] 표기방식을 참고한다.
          형식: 저자. (제출연도). 논문의 제목 (미출판 석․박사논문). 대학명, 소재지. [‘논문의 제목’ 이탤릭체 사용]
          예: Azalea, D. (2003a). Scope of general inorganic substance into human bod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Isephex, London.
          예: 강최정, 정윤홍. (2001). 브레인스토밍과 스캠퍼 기반의 서비스디자인 프로세스 연구 (미출판석사논문). 대한대학교, 서울.
        • • 온라인 학위논문 (원문 전체가 웹 페이지에 게시되어 웹 상에서 직접 열람 가능하게 되어 있는논문)
          형식: 저자. (제출연도). 논문의 제목 (박사 또는 석사학위 논문, 대학명). 출처: 웹 전체 URL [‘논문의 제목’ 이탤릭체 표기, 마지막에 마침표(.) 찍지 않음]
          예: Chrysanthemum, J. D. (2007). Three studies of human information processing (Master's thesis, Tachua Institute of Technology). Retrieved from http://www-static.cc.mitech.edu/ ~asb/thesis12
          예: 김박이. (2015). 증강현실기반 환경에서 학습자의 사용성에 대한 태도 연구 (박사학위 논문, 대한대학교). 출처: https://academic.nicer.com/article.nicer?doc_id=13955800
        • • 학술회의 또는 세미나 Proceedings
          형식: 저자. (개최연도, 월). 발표의 제목. 발표논문집 제호, 권 번호, 개최지, 쪽 수. [‘발표논문집제호’ 이탤릭체 사용]
          예: Azalea, D. & Chrysanthemum, J. D. (2003b, September). Traditional knowledge and traditional cultural expressions.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Design Experts Group, Vol. 47, Helsinki, 97-98. [pp. 00 또는 p. 00 사용하지 않음]
          예: 강최정, 정윤홍. (2001, 9월). 브레인스토밍과 스캠퍼 기반의 서비스디자인 프로세스 연구. 대한디자인학회 동계학술대회 발표자료집, 17, 부산, 37-38.
        • • 웹 튜토리얼 및 블로그, 팟캐스트 게시물
          웹 튜토리얼이란 기업, 연구소, 단체, 기관 등에서 게시한 지식․자료․정보 페이지 등을 지칭하고,블로그 게시물에는 웹 카페 등 주로 개인적인 정보, 취미 또는 노하우 등을 공개한 공개 콘텐트를,팟캐스트는 웹 상에서 오디오/비디오 파일 형태의 콘텐트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이런 웹콘텐트의 참고문헌 표기는 게시물의 제목 바로 뒤 중괄호brackets 속에 [웹 튜토리얼 게시물, 웹블로그 게시물, 또는 팟캐스트] 등과 같이 문헌의 종류를 명기해주는 것으로 구분한다.
          형식: 저자. (게시 연월일). 게시물의 제목 [웹 튜토리얼(또는 블로그, 또는 팟캐스트) 게시물]. 출처:웹 전체 URL [마지막에 마침표(.) 찍지 않음]
          예: Gibbons, V. (2018, July 22). A Model for Conducting UX Workshops and Exercises [Web tutorial post(또는 Web blog post, 또는 Audio(Video) podcast)]. Retrieved from https://www.nngroup.com/articles/ux-workshop-exercises/
          예: 이무기, 구렁이, 백흑룡. (2015, 5월 13일). 디자인의 5가지 조건 [웹 블로그 게시물(또는 웹튜토리얼 게시물, 또는 오디오(비디오) 팟캐스트]. 출처: http://youngsda1.blog.me/22
        • • 특허
          형식: 출원자. (등록년도). 해당 국가 특허번호. 소재지: 해당 특허청. [‘해당 국가 특허번호’ 이탤릭체 사용]
          예: 최정강. (1988). 대한민국 특허번호 12,398. 대전: 특허청.
        • • 온라인 참고서적 입력어 검색 결과 (온라인 사전, 백과사전, DB 등)
          형식: 저자. (검색 연월일). 입력한 검색어. 온라인 참고서적명 (판 수). 출처: 웹 전체 URL [‘온라인 참고서적명’ 이탤릭체 표기, 마지막에 마침표(.) 찍지 않음]
          예: Tulip, P. (2020, January 5). Behaviorism. In Merriam-Webster's online dictionary (11th ed.). Retrieved from http://www.m-w.com/dictionary/behaviorism/
          예: 이무기. (2018, 11월 10일). 비디오 게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출처: https://ko.wikipedia.org/wiki/%EB%B9%84%EB%94%94%EC%98%A4_%EA%B2%8C%EC%9E%84
        • • 단체명 저자, 단체 및 기관 보고서
          출판을 통해 공개되지 않은 단체 또는 기관의 보고서 등 문헌은 저작권자 미지정, 내용에 대한공개의사 불명 등의 이유로 원칙적으로 연구에서 인용이 불가하다. 따라서 저자와 발행연도가 공히미상인 단체 및 기관의 내부 문건은 인용하지 말아야 한다. 단, 단체명이거나 또는 개인일지라도문헌의 저자가 명시되어 있고 발행 시기만 확인이 불가한 출판된 문헌의 경우1)와 저자와 작성시기가 확인 가능한 미출판 문헌2)은 다음 예시에 보인 바와 같이 표기한다. 마지막 두 가지 문헌의경우에도 그 출처는 명확히 제시되어야 한다.
          형식: 저자. (발행연도). 문건 또는 보고서의 제목 (해당 기관의 출판물 등록 번호). 출처: 웹 전체URL [‘문건 또는 보고서의 제목’ 이탤릭체 표기, 마지막에 마침표(.) 찍지 않음]
          예: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2003). Managing Asthma: A guide for schools (NIH Publication No. 02-2650). Retrieved from http://www.nhlbi.nih. gov/health/lung_heart/asthma/asth_sch.pdf
          1)예: LG경제연구원. (연도 미상). 한국의 산업구조-변화속도 줄고 집중도는 증가 (ISSN 1234-5678). 출처: http://www.lgeri.com/econo_report/m-report/#3027
          2)예: Japan Patent Office. (2014). Source of health characteristics of the uninsured (No publication number). Retrieved from http://www.jpo.go.jp/iken/pdf/ locarno_141029/hc.pdf [“No publication number” 또는 “출판물 번호 미상”]

  4. 부 칙
    본 규정에 정하진 않은 사항들은 APA 학술지의 논문 투고규정에 준하며, 필요 시 본 학회의 편집위원회가 정한다.

  5. 시 행
    1. 이 규정은 2007년 1월 1일부터 시행한다.

  6. 개 정
    • 1. 본 규정은 편집위원회의 의결을 거쳐 일부 개정한다.(2008년 2월 25일 일부 개정)
      - 개정 내용 : 2조 8항 '저자이름' 내용 수정
      - 개정 내용 : 2조 9항 '저자소속' 내용 수정
      - 개정 내용 : 2조 15항 '제일작은논문제목' 내용 수정
      - 개정 내용 : 2조 1항에서 26조 항까지 규정 양식 수정 - 개정 내용 : 2조 25항 '참고문헌양식 ' 내용 수정
      - 개정 내용 : 제3조(발행일) 1항 '본 학술지는 연 2회'를 '본 학술지는 연 4회'로 수정
      - 개정 내용 : 제3조(발행일) 2항 '발행일은 6월 마지막 일, 12월 마지막 일로 기준 한다 '를 '발행일은 3월 마지막 일, 6월 마지막 일, 9월 마지막 일, 12월 마지막 일로 기준 한다'로 수정

    • 2. 본 규정은 편집위원회의 의결을 거쳐 일부 개정한다.(2011년 6월 일부 개정)
      - 개정 내용 : 각주의 사용 예제 추가
      - 개정 내용 : 참고문헌 페이지 삽입 내용 삭제 및 참고문헌 예제 기입
      - 개정 내용 : 저자 소속 기입 방식 변경
      - 개정 내용 : 중심어 표기 방법 수정

    • 3. 본 규정은 편집위원회의 긴급회의를 거쳐 일부 개정한다. (2013년 8월 일부 개정)
      - 개정 내용 : 각주의 사용 '디지털 뉴스 및 전자 출판물 예' 추가
      - 개정 내용 : 참고문헌 '디지털 뉴스 및 전자 출판물 예' 기입

    • 4. 본 규정은 편집위원회의 의결을 거쳐 일부 개정한다. (2015년 2월 23일 일부 개정)
      - 개정 내용 : 제 1조(내용) 수정
      - 개정 내용 : 제 2조(규정) 각주, 참고문헌 수정

    • 5. 본 규정은 편집위원회의 의결을 거쳐 전부 개정한다. (2015년 12월 14일 전부 개정)
      - 개정 내용 : '논문 투고 규정'과 '논문 작성 및 발행 규정' 통합
      - 개정 내용 : 논문 작성 요령 및 상세 규격을 APA 규격으로 전부 개정
    • 6. 본 규정은 편집위원회의 의결을 거쳐 일부 개정한다. (2019년 11월 8일 일부 개정)
      - 개정 내용 : 제3조 (논문의 유형) / ‘논문편집위원회’를 ‘'논문지편집위원회(이하 ‘편집위원회’)'로 수정. 이하 ‘논문편집위원회’를 전부 ‘편집위원회’로 수정.
      - 개정 내용 : 제3조 (논문의 유형) / 제3항 / ‘기타 디자인 분야’를 ‘기타 디자인 연구 분야’로 수정.
      - 개정 내용 : 제4조 (투고 시기 및 방법) / 제1항 / ‘60일’을 ‘70일’로 수정.
      - 개정 내용 : 제4조 (투고 시기 및 방법) / 제3항 / ‘약 2개월 전’을 ‘약 70일 전’으로 수정.
      - 개정 내용 : 제8조 (비용 납부) / 제2항 / ‘별도의 추가 게재료는 부과하지 않는다’를 ‘게재료는 일반투고 논문과 동일하게 부과한다’로 수정.
      - 개정 내용 : 제12조 (논문 작성 요령 및 상세 규격) / 제1항 / ‘세미콜론semicolon(;)’을 ‘콜론colon(:)’으로 수정.
      - 개정 내용 : 제12조 (논문 작성 요령 및 상세 규격) / 제2항 / ‘다만 부제가 있을 경우, ~ 시작하지 않는다’를 ‘영문 제목은 관사article, 전치사preposition와 등위접속사coordinating conjunction를 제외한 나머지 단어의 첫 글자를 대문자로 표기한다’로 수정.
      - 개정 내용 : 제12조 (논문 작성 요령 및 상세 규격) / 제5항 / ‘본 학술지 초록의 단어 수 제한은 200단어이므로 이를 초과해서는 안 된다. 초록은 들여쓰기 없이 전체를 한 단락으로 작성한다.’를 삭제.
      - 개정 내용 : 제12조 (논문 작성 요령 및 상세 규격) / 제5항 / ‘본 학술지의 초록은 연구배경, 연구방법, 연구결과, 결론의 4개 단락으로 나누어 실제 진행된 연구의 맥락에 맞게 간결하게 작성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사용 단어 수 제한word limits은 200단어이므로 이를 초과해서는 안 된다. 초록의 각 단락 내에서는 2개 이상의 단락으로 나누지 말아야 하며, 들여쓰기하지 않는다.’를 추가.
      - 개정 내용 : 제12조 (논문 작성 요령 및 상세 규격) / 제5항 / 표 내용에서 ‘8.5pt’를 ‘8.3pt’로, ‘초록 제목은 나눔명조 EB’를 ‘초록 제목은 나눔바른고딕’으로 수정. ‘속성: - (초록 제목은 진하게)’를 추가.
      - 개정 내용 : 제12조 (논문 작성 요령 및 상세 규격) / 제6항 / 표 내용에서 ‘중심어 제목은 나눔명조 EB’를 ‘중심어 제목은 나눔바른고딕’으로 수정.
      - 개정 내용 : 제12조 (논문 작성 요령 및 상세 규격) / 제7항 / ‘250단어’를 ‘230단어’로 수정.
      - 개정 내용 : 제12조 (논문 작성 요령 및 상세 규격) / 제7항 / 표 내용에서 ‘150%’를 ‘146%’로 수정.
      - 개정 내용 : 제12조 (논문 작성 요령 및 상세 규격) / 제8항 / ‘Keywords의 대소문자 표기는 영문 제목의 규정을 따르도록 한다.’를 추가.
      - 개정 내용 : 제12조 (논문 작성 요령 및 상세 규격) / 제15항 / 표 내용에서 ‘8pt.’를 ‘7.8pt’로, ‘95%’를 ‘100%’로 수정.
      - 개정 내용 : 제12조 (논문 작성 요령 및 상세 규격) / 제20항 / ‘저자가 불특정한 이유를’을 ‘저자가 단순히 참고하였다거나 영감을 얻었다, 배경이 되었다는 등의 불특정한 이유를’로 수정.
      - 개정 내용 : 제12조 (논문 작성 요령 및 상세 규격) / 제20항 / ‘동일한 저자의 2개 이상의 문헌은 발행연도 순으로 표기하고, 저자가 2인 이상일 때도 모든 저자의 이름을 기재한다. 참고문헌 색인을 각주 색인과 혼용해서는 안 된다.’를 삭제.
      - 개정 내용 : 제12조 (논문 작성 요령 및 상세 규격) / 제20항 / ‘출판된 문헌은 그 출판일이 분명하겠지만 ~ 참고문헌 목록에서 직접 기재하여야 한다. (‘논문 작성 및 발행 규정 제 12 조 15항 각주’ 참조)’를 추가.
      - 개정 내용 : 제12조 (논문 작성 요령 및 상세 규격) / 제20항 / ‘참고문헌’ 표기방법 해설 및 예제 일부 수정.

 
Main Office : 05701  서울특별시 송파구 오금로 310 가락빌딩 9층
T : 02.407.2657    F : 0505.116.2657    mail: kaid@kaid.or.kr
Powered by INFOrang Co., Ltd